[뉴스]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 SCIENCE
- 2019. 4. 10.
블랙홀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처음으로 발견되었다네요.
지구에서 거리가 5천5백만 광년 거리에 있다니, 얼마나 먼지 전혀 감이 않오네요.
빛의 속도로 5500만년 떨어져 있는것을 어떻게 촬영한 것일까?
정말 신기하고 대단하네요.
무엇보다 지금으로부터 104년전인 1915년에 제시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이번 블랙홀 관측으로 입증되었다고 합니다.
아인슈타인도 대답합니다.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인류가 ‘블랙홀’의 핵심부를 영상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을 제시하면서 처음 개념이 등장한 블랙홀의 존재를 직접적인 증거를 통해 눈으로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를 이끈 쉐퍼드 도엘레만 미국 하버드 스미스소니안 천체물리센터 교수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개최한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인류에게 최초로 블랙홀의 모습을
news.v.daum.net
참고로 아래는 블랙홀이 무엇인지 설명한 기사이다.
[블랙홀 첫 관측]블랙홀이란 무엇인가
유럽남방천문대(ESO)가 10일 오후 10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 프로젝트의 첫 관측 결과를 발표했다.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빛에 중력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예고하며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보인 지 100년이 넘어서야 첫 이미지가 공개되는 것이다. 블랙홀은 관측이 어렵다 보니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
news.v.daum.net
또한, 위키에 정리된 블랙홀과 일반상대성일론 설명이다.
- Wikipedia 블랙홀: https://ko.wikipedia.org/wiki/블랙홀
블랙홀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궁수자리 A*의 모델로 제안된,[1] 전리물질의 토러스를 두르고 있으면서 회전하지 않는 블랙홀의 상상도. 토러스 양 옆의 비대칭성은 블랙홀의 매우 강력한 중력적 인력으로 공전속도가 무지막지하게 빨라져 도플러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블랙홀(black hole)[2]은 강력한 밀도와 중력으로 인해 입자나 전자기 복사, 빛을 포함한 그 무엇도 빠져나올 수 없는 시공간 영역이다.[3] 일반상대론은 충분히 밀집된 질량이 시공을
ko.wikipedia.org
- Wikipedia 일반상대성이론: https://ko.wikipedia.org/wiki/일반_상대성이론
일반 상대성이론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어려운 수식이나 전문적 내용 없이 설명한 문서에 관해서는 일반상대론 개론 문서를 보십시오. 일반 상대성이론(一般相對性理論, 독일어: allgemeine Relativitätstheorie, 영어: theory of general relativity) 또는 일반상대론(一般相對論, 영어: general relativity)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에 발표한, 중력을 상대론적으로 다루는 물리 이론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ko.wikipedia.org
- 다음뉴스 이슈 - 블랙홀 첫 촬영 성공: https://media.daum.net/issue/1460695
이슈 - 블랙홀 첫 촬영 성공
다음뉴스
media.daum.net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uTube] 수돗물 온수는 왜 뿌옇게 나오는 걸까? (0) | 2019.04.09 |
---|---|
[뉴스] 지구자기장 감지하는 인간 나침반..'제6의 감각' 있다 (0) | 2019.02.25 |
[뉴스] 태양 중심 1500만도..인공태양 1억도 필요한 이유는? (0) | 2019.02.24 |
[뉴스] '한국형 인공태양' KSTAR, 작동 최소 온도조건 1억도 달성 (0) | 2019.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