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하마연구소 입니다.Base64 인코딩은 바이너리 데이터를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ASCII 문자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입니다.영어 알파벳 대/소문자, 숫자, +(더하기), /(나누기,슬래시) 그리고 필요하다면 =(equal)만은 사용한 결과이기에 HTML이나 CSS 내부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 URL path 또는 쿼리파라미터 값으로 많이 사용됩니다.일반적으로 바이너리 데이터를 Base62로 인코딩하면 결과물이 다소 길어서 용량은 증가하겠지만, 일반 텍스트 편집기로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또한 인코딩된 값을 직접 보면 무슨 의미인지 파악할 수 없으며 랜덤한 문자열로 보이기에 콘텐츠의 ID로 사용하기도 합니다.YouTube의 영상 ID가 이렇게 사용된 예시입니다.https://namu..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